2012년 11월 27일 화요일

1951년 한국 전쟁 고지전




한국전쟁이 어떻게 진행됐는지는 모두 알고 있을거야

전쟁초기엔 낙동강까지 북괴군에게 밀리지만

인천상륙작전 이후로 통일 직전까지 갔다가 중공의 개입으로 지금의 휴전선 부근에서 전선이 고착화되었지

사실 휴전회담이 오가며 전선이 고착화 된 시기가 전쟁에서 가장 긴 부분을 차지해

휴전회담이 오가는 와중에 조금이라도 땅을 더 따먹기 위해 고지를 점령하기 위해 싸우는 소위 고지전이 이 시기의 주요 전투였지

그 중에서도 강원도 부근, 특히 양구에선 1951년에 한국전쟁 최대의 고지전이 벌어졌어




도솔산 전투 (1951. 6. 4 ~ 1951. 6. 19)

아군 : 한국해병대 제 1연대
적군 : 북괴 공산군 5군단 예하 12사단, 32사단

60fed1d2fb6395808e9aa2974527f505.jpg

양구 지구 전투의 첫 시작을 알리는 전투는 양구와 인제 사이에 위치한 해발 1000m 이상의 봉우리가 즐비한 도솔산에서 벌어졌어

당시 양구는 지금과 달리 중공과 북괴의 손에 넘어가있었고, 험준한 산맥을 중심으로 강력한 방어선이 구축되어 있었지

하지만 이 고지를 잇는 방어선 때문에 여의도의 6배에 달하는 분지가 적의 손에 넘어가게 되있었고, 중요한 교통로를 장악당한 형태였지

또 경기도부근 전선은 휴전회담이 직접 진행 중이어서 영토확장이 어려웠지만 강원도는 휴전회담 진행 중에도 계속해서 전투가 가능했어

f5130844af07faa9cf4951eeae1646a3.jpg

도솔산은 특히 양구, 인제를 관통하는 도로를 끼고 있었기 때문에 꼭 점령해야한다고 판단한 UN군은 공격을 시작해

처음엔 미 해병대 1사단 5연대가 공격을 했지만 실패하고 한국해병대 1연대가 교대하여 공격을 시작했어

당시 미군은 강력한 포병 지원과 폭격을 바탕으로 공격했지만 험준한 산에 벙커를 지어놓은 빨갱이들에게 별 피해를 줄 수 없었기 때문에 실패했어

이를 착안한 한국해병대는 낮에 포격지원을 바탕으로한 점령전을 야간 기습공격으로 바꾸어 공격했어

그리고 고립된 적을 3개 대대가 번갈아 공격하는 식으로 적의 물자를 바닥내고 피로도를 극대화하는 전략에 북괴는 결국 GG를 치고 도솔산에서 후퇴하게 돼

이 전투는 해병대 5대 전투로 기록에 남게되고, 미군이 못한 일을 우리 국군이 해냄으로써 나름대로의 위상을 높였어. 거기에 도솔산을 점령하여 빨갱이들의 방어선은 약 10km 후방으로 밀려나.


해병대 1연대는 123명 전사를 포함한 700여명의 사상자를 냈지만, 북괴군 2000여명을 사살하고 44명을 생포해서 대승을 거뒀다고해도 무방해



대우산 전투(1951. 7. 15 ~ 1951. 7. 31)

아군 : 미군 제 2사단 38연대, 23연대, 네덜란드 대대, 국군 해병대 1연대
적군 : 북괴 공산군 제 27사단 32연대

도솔산을 탈환한 해병대는 계속되는 공방으로 피해가 일어나자 미군과의 교대를 요청해

그러나 교대를 1주일 앞두고 대우산을 점령을 위한 작전이 시행되고 1연대가 모두 육탄전을 펼친 끝에 중간지점을 점령했어

임무를 마친 해병대는 곧 미군 2사단, 네덜란드 대대와 임무를 교대했어

그리고 잠깐의 평화 중 짱깨들이 휴전회담을 거부하자 유엔군은 짱깨들을 회담장으로 끌어오기 위해 다시 공격을 시작했어

UN군은 100톤이 넘는 폭탄을 퍼부었지만 버로우한 북괴는 이를 버텨냈어

빡친 천조국 성님들은 전략을 바꿔...는 개뿔 폭탄을 더 퍼부어서 결국 북괴군을 물리치고 대우산을 점령했어

이 작전으로 UN군은 적 3690명이 사살했고 55명을 포로로 붙잡았으나, 전사, 실종 205명을 포함한 946명의 피해를 봤어.



피의 능선 전투 (1951. 8. 18 ~ 1951. 9. 7)

아군 : 국군 제 5사단 36연대, 미군 제 2사단
적군 : 북괴 공산군 제 27사단

090610_Blood_Ridge_3.jpg

중공은 결국 회담장으로 오지 않았고, 장마가 끝나자 다시 전투가 시작됐어

연합군은 983-940-773고지로 이루어진, 후에 피의 능선으로 명명되는 고지를 점령하기 위해 공격을 시작했어

먼저 국군 5사단36연대가 선제공격을 시작했지만 북괴의 지뢰밭에 전진이 힘들어 작전에 실패.

지뢰밭 민주화를 위해 미2사단이 지뢰밭에 포격을 가했지만 지뢰로 도배를 해놨는지 여전히 남아있는 지뢰에 다시 작전은 실패해

결국 국군은 정면공격을 포기하고 983고지를 우회해 940, 773고지를 기습공격했어

지뢰밭만 믿고 뻥커에서 놀던 북괴는 순식간에 후장을 대주며 모든 고지를 내줬어

그러나 국군의 피해도 심각했고 북괴가 다시 재정비 후 공격할 것을 예상한 연대장은 미군과 교대를 요청했지만 거부당하고, 북괴의 재공격에 포위당하고 다시 983고지를 내주게 됐어

이후 포병전력을 강화한 36연대는 포격을 바탕으로 미군과 합동공격해서 983고지를 재점령하며 전투는 막을 내렸어.


4a2fd7faf89c7570dd4ff88408cafc4e.jpg


이 전투로 국군은 1000여명, 미군은 270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고 북괴군은 15000여명가량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전투 중에 화력지원을한 미 2사단은 하루 평균 3만발의 105, 155mm 포를 발사했고 미군 지휘관은 '한국전 발발 후 가장 많은 포를 쐈다'고 했으며 능선이 피로 붉게 물들었다 하여 종군기자들이 '피의 능선'이라 이름붙였지...

cache.php?url=http%3A%2F%2Ffile.agora.media.daum.net%2Fpcp_download.php%3Ffhandle%3DMW1tbFhAZmlsZS5hZ29yYS5tZWRpYS5kYXVtLm5ldDovRDAwMy85Lzk1Ny5qcGc%3D%26filename%3Dpostx-taegukgic.avi_001883006.jpg

참고로 태극기 휘날리며에서 마지막에 장동건과 원빈이 만나는 전투가 바로 이 피의 능선 전투야






펀치볼 전투 (1951. 8.30 ~ 9.20)
  
아군 : 미군 제 1해병사단, 국군 제1 해병연대
적군 : 북괴 공산군 제 1사단

 718e2a4ccb3170f35af4ff169b73c5ce.jpg

휴전회담이 드디어 재개되자 이번엔 조금이라도 영토를 더 차지하기 위한 고지전이 펼쳐졌어.

그림에서 볼 수 있겠지만 펀치볼이라는 거대한 분지와 그 옆을 지나는 도로를 확보하기 위해선 펀치볼 위의 고지라인을 꼭 점령할 필요가 있었지

이를 위해 유엔군은 펀치볼 일대에 공격명령을 내렸고, 이로써 펀치볼 전투, 가칠봉 전투, 단장의 능선 전투가 거의 비슷한 시기에 개시되어 펀치볼 일대를 완전히 장악하기 위한 전투가 시작되었어

 펀치볼 일대에서 가장 먼저 공격을 시작한 것은 국군 해병대와 미군 해병대 였어. 비록 불리한 지형과 적의 지뢰, 탄막공격 등에 피해를 입었으나 포병화력, 항공지원에 힘입어 효과적으로 적을 격퇴하였고 적 1사단을 격멸하며 비슷한 시기의 두 전투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작전을 마무리 지었지

전투로 적 2799명 사살, 포로 557명의 성과를 냈으며 전사 428명, 부상 1062, 실종 3명의 피해를 입었어

1cc8623b9de3ab81f0fb010805fd6b44.jpg




가칠봉 전투 (1951. 9. 4 ~ 1951. 10. 14)
  
아군 : 국군 제 5사단 27연대
적군 : 북괴 공산당 제 12사단, 27사단

 4d3747a43ae7112c4c36427b86e57636.JPG

금강상의 마지막 봉우리인 가칠봉에서 펼쳐진 가칠봉 전투는 펀치볼 전투와 비슷한 시기에 개시되었어. 

5사단 27연대을 전력으로 1122m의 김일성 고지를 중심으로한 가칠봉에 대한 공격이 시작되었지만, 피아 간 전선 거리가 너무 가까워 대포병, 항공 지원이 불가능한 상태로 개시되었지

북괴군은 견고한 진지와 고도의 이점을 통해 고지를 지켰지만 육탄전을 불사한 공격에 결국 고지를 내줬어. 그러나 곧바로 야습으로 고지를 내준 국군은, 이후에도 육탄전을 반복하며 6차례나 고지의 주인이 바뀌는 혈전 끝에 고지를 사수하며 전투에서 승리하게 돼

북괴 1102명이 사살되고 250명의 포로가 잡혔지만 아군도 전사 692명, 실종 437명의 큰 피해를 입었어

3dcc1f316ab3e2e4f2955ec36373cc77.jpg

이건 2010년 가카가 가칠봉 OP를 방문했을 때 사진이야
나는 저기 옆에 옆에 있던 라인이었음^^ 우리한테 안 와서 다행.
말년에 스타워즈 볼 뻔했다


단장의 능선 전투 (1951. 9. 13~ 1951. 10. 13)

아군 : 미 10군단 예하 제 2보병사단, 프랑스 대대, 네덜란드 대대
적군 : 북괴군 6, 12, 13사단, 중공군 204사단

8a33f49cc6de06f90282d5a78900cc16.jpg

피의 능선 전투에 승리한 미 2사단은 다음 공격목표인 양구 북방 문등리의 894, 931, 851 고지로 이루어진 능선을 공격했어

처음에는 미2사단의 정면 공격으로 시작되었지만 북괴 6사단의 강렬한 저항에 막혀 많은 사상자를 내고 후퇴하고 말아. 그러나 이후 공격루트를 바꾸고 기갑전력의 30만발에 달하는 포격지원과 항공지원을 바탕으로 반격해 1개월 간의 사투 끝에 931 고지를 점령하며 전투를 끝내

이 전투를 보도한 종군기자가 부상병이 "심장이 끊어지는 것같다"라고 한 말을 인용하며 Heart Break Ridgeline이라는 호칭이 붙였지.

전투로 UN군은 3700명에 이르는 사상자를 냈고 북괴군은 2만5000명에 달하는 피해를 본 것으로 추정 돼. 

여담이지만 23연대 휘하로 참여했던 프랑스대대의 대원이 자신의 유골을 전우가 죽은 단장의 능선에 뿌려달라는 유언을 남겨, 2007년 육군이 유언대로 뼈를 뿌려주었어

  9c52f7a83bed5ff19f4bfa3ca90e1a45.jpg
5e3b28c064c8c22df3c691b2c4859d9d.jpg



백석산 전투 (1951. 9. 24 ~ 1951. 10. 1)

아군 : 국군 제 7사단, 8사단
적군 : 북괴군 12, 32사단

5da43db1b72a846c5f21f09c85f2c594.jpg

위의 전투들과 비슷한 시기에 벌어졌고 백석산 일대를 수복하고, 단장의 능선, 가칠봉 일대의 전투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령한 이후 어은산에 대한 공략을 목적으로 전개되었어 

최초에 7사단이 32사단을 상대로 작전을 전개하여 1142고지를 탈취하였지만 곧 반격을 받아 4일 만에 다시 후퇴하고,
8사단이 뒤를 이어 공격을 개시하여 2일 만에 고지를 탈환했어

전투결과, 아군은 전사 244명, 실종 14명을 포함 1423명의 피해를 입었고 북괴군은 1561명의 사살, 포로의 피해를 입었어

이후 중공군의 공격에 대비해 진지 강화에 힘썼지만 곧 휴전회담이 진척을 보이며 전선은 안정화 되면서 양구일대의 주요고지전은 이 전투를 마지막으로 끝나게 됐어


크리스마스 고지 전투 (1951. 12. 25 ~ 1951. 12. 28)

아군 : 국군 제7사단
적군 : 중공군 204사단

 34e235b34f920ff1f1ba74ce0461865a.jpg

1951년 12월 25일. 크리스마스에 방심하던 때를 틈타 중공군 204사단이 1090고지에 주둔 중이던 7사단에 포격을 가하며 전투가 시작됐어 
휴일을 틈탄 휴전회담 중 군사분계선 잠정 합의를 무시한 공격이었지

갑작스러운 기습에 고지의 주인이 바뀌는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지만 7사단은 효과적으로 고지를 방어하며 1951년 양구의 마지막 고지전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어. 이 전투로 중공군 172명을 사살하고 5명을 포로로 잡았으나 국군도 전사22, 실종21의 피해를 입었어